|
 |
|
|
|
|
각종 사회사업 서비스의 증가 |
|
직장사회사업, 스포츠계(약물남용을 막기 위함), 시각진료소(시각 장애자의 스트레스를 다룸), 농촌사회사업
|
|
| |
|
|
전문적 성숙과 정체감의 발전 |
|
청문회에서 의견을 개진할 정도로 전문성 인정받음
|
|
| |
|
|
개인사회 사업 |
|
자격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업사회사업의 증가추세(정신건강분야)
|
|
| |
|
|
컨설턴트 역할의 발전 |
|
학교, 병원, 기업체, YMCA 등에 컨설턴트 제공
|
|
| |
|
|
책임성의 증가 |
|
서비스 전달의 결과를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체계분석 프로그램으로 확산, 효과성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가지도록 노력
|
|
| |
|
|
사례관리 |
|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가진 개인과 가족에 효과적인 사례관리의 증대
|
|
| |
|
|
홍보개선 |
|
사회복지사 자신들이 홍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홍보전문가도 고용, 로비활동도 활발히 전개(전국사회복지사협회에는 로비스트가 근무)
|
|
| |
|
|
리더쉽 역할의 확대 |
|
사회복지사들은 선거직위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의 기관 및 각종 위원회, 그리고 입법단체에서 직위를 얻음
|
|
| |
|
|
|
|
|
|
사회사업교육의 강화 |
|
일반사회복지사에서 전문사회복지사의 양성에 초점을 둠
|
|
| |
|
|
연구 및 출판물의 증가 |
|
1955년 「Social Work」을 비롯하여 다양한 학술지 발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