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시대 도시사회의 계급 구성: 런던과 뉴욕의 예

제조업의 쇠퇴와 서비스분야 고용의 증대 즉 다국적 기업들의 경제적 통제를 담당 하는 기관, 금융 기관 등이 상이한 기능을 하기위한 요새(niche)로서 기능

국제도시(global city)로서 정치 경제적 기능을 하는 데 적합한 사회구조와 공간적 구성이 이루어짐

특수한 서비스 생산을 위해 복합적 조직들(공장, 사무실, 서비스 점포들로 구성)이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있음.

금융산업의 국제화와 확대를 위해 금융혁신의 생산과 시장 구축의 중심이 됨. 사회 계층구조가 기존의 4가지 유형이 아닌 모래시계 유형인 양극화현상을 보여준다.

노동시장의 다양함과 사회이동의 개연성은 개인의 생애주기 상임시 계급적 지위를 유지하기도 한다.

새로운 사회적 차별인 소수민족 내지 인종적 제약이 메트로폴리탄 도시의 "계급 이하(under class)" 집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