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안적 패러다임 |
|
|
|
|
미디어의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 of media)
미디어 내용이 경제력, 즉 소유주, 광고주, 미디어 시장에 의해 결정 된다는 입장
|
|
|
국가이데올로기 기구로서 미디어
알뛰세(L.Althusser)는 계급사회의 계급 재생산을 위한 이데올로기 국가 기구인 학교, 교회나 마찬가지로 미디어는 최종심급인 경제구조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고 보았다.
그람시(Gramsci)는 헤게모니(hegemony) 장악의 수준에서 '이중 시각(dual perspective)'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즉 권력이 '도덕적 철학적 지도력'을 행사하기위해 대중의 동의를 얻어내야 하는데, 이때 문화적 텍스트들의 의미는 해석의 개연성, 협상의 개연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유연성은 하위집단으로 하여금 그들의 문화적 실천인 음악, 패션, 언어를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저항할 수 있게 한다.
예): 아침이슬 등이 군사정권시절 판금된 현실, 펑크족의 패션, 동성애자들의 피어싱 등
|
|
|
기술의 위협
맥루한(McLuhan)은 기술 자체가 문화적 삶이나 지성적 삶을 위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새로운 미디어가 인간을 게으르고, 비이성적 태도를 갖게 한다는 것이다. 즉 인쇄매체의 이성적 집중에 비해 방송매체 특히 텔레비전의 오락성 편중을 비판한다. 텔레비전을 ‘바보상자’라고 일컫는다.
포스트만(Postman)은 오락의 심취에 문제가 있기보다는 문화적 논의나 정치적 논의 때 비이성적 수용의 폐해가 더 문제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
|
| |
|
 |
|
|
|
|
경제적 영향력 |
|
|
|
|
광고를 통한 소비자 선택권에 영향력(우리나라 광고비 매출액:1981년, 3,184억원, GNP 0.70%, 1992년, 28,159억원, GNP 1.18% 2003년, 2조 3,671억원)
|
|
|
|
|
| |
|
|
정치적 영향력 |
|
|
|
|
정치적 선전, 광고,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 역대 대통령 선거의 사례들에서 알 수 있다. 예컨대, “자갈치시장 아줌마” 편을 열우당은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텔레비전 매체를 이용했으며, 한나라당 후보자에 대한 신랄한 비판은 찬 매체인 신문광고를 통해 홍보했다. 반면에, 한나라당은 열우당 후보자에 대한 인신 공격적 비판을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했으며,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홍보를 신문광고를 통해 했다는 점이 광고 전략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
|
|
|
|
|
| |
|
|
도덕적 사회적 영향력 |
|
|
|
|
폭력과 성의 선정성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청소년 범죄와 폭력 프로그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발표한 경우도 있다. “방송윤리심의위원회”가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
|
|
| |
|
 |
|
|
|
 |
 |
|
|
언론과 매스컴
언론과 대중매체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을 살펴보면,
기능주의(functionalism) 시각
기본적으로 낙관적 입장이다. 사회화, 사회통합, 사회적 합의를 지속시키는데 미디어가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다원주의(pluralism) 시각
매스 미디어가 개인의 인식능력, 도덕 규범적 능력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다원적 대중문화를 형성, 취향문화 (taste culture)를 다양화 시켜준다.
대안적 패러다임
(1) 미디어의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 of media)
(2) 국가이데올로기 기구로서 미디어
(3) 기술의 위협
|
 |
|
|
|
매스미디어의 영향
경제적 영향력
정치적 영향력
도덕적, 사회적 영향력을 들 수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