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Ⅲ) - 전자부품 ③ : 트랜스Electron/Etc. 2014. 8. 28. 11:11
일렉트로닉스 격언집(Ⅲ) - 전자부품 ③ : 트랜스 전자부품 ③ : 트랜스 中野 正次 트로이덜 트랜스의 돌입 전류가 매우 크므로 퓨즈는 타임 래그형을 사용한다 100V 입력, 50VA의 트랜스는 손실을 무시할 경우 1차 측 전류가 최대 부하에서도 0.5A이며, 일반적으로 이것의 몇 배나 큰 전류가 흐를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퓨즈나 스위치도 0.5A를 기준으로 선정한다.그러나 트로이덜 코어를 사용한 전원 트랜스에서는 사정이 전혀 다르다. 사진 1은 100V, 50VA의 트로이덜 트랜스로 115V용을 개조하여 100V용으로 만든 것이다. 이 트랜스의 전원이 ON인 순간 흐르는, 이른바 돌입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은 회로에서 테스트했다. 트랜스의 2차 측은 무부하 상태이다. 이 테스트는 1회..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전자부품 ② : 진동자Electron/Etc. 2014. 8. 28. 11:10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전자부품 ② : 진동자 전자부품 ② : 진동자 수정진동자는 테이블에서 떨어뜨리기만 해도 망가진다 1. 떨어뜨리면 깨진다고 생각되는 진동자 수정진동자의 진동편 소재는 SiO2 순결정이다. 두께는 20MHz : 0.0825mm, 10MHz : 0.165mm, 4MHz : 0.4125mm로 상당히 얇은 소재이며 경도는 수정 모스 경도 8(구 모스코드로는 7)로 나타낸다.수정진동자에는‘내낙하충격성 : 경질 목판 위 75cm/3회’ 등과 같은 규격도 있지만, 보통은 그 이상의 높이에서 낙하시켜도 주파수나 공진저항이 규격값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결과는 낙하 조건에 따라 바뀐다. 흔히 말하는‘급소를 맞는’것이다. 콘크리트나 금속 위에 떨어뜨리면 충격이 증가해 손상이 ..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전자부품 ① : CR 외Electron/Etc. 2014. 8. 28. 11:09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전자부품 ① : CR 외 전자부품 ① : CR 외 전해 콘덴서에는 수명이 있다 오래 된 스피커 시스템(3way)을 오랜만에 다시 사용해 봤더니 주파수 특성이 완전히 흐트러져 있는 경우가 있었다. 자세히 조사해 보니 이상해진 것은 각 스피커 유닛(드라이버)이 아닌 디바이딩 네트워크(그림 1)라는 것을 알았지만, 그 중에서도 콘덴서가 열화됐던 것이. 한쪽 채널에는 3개의 전해 콘덴서가 사용되고 있어 스테레오로 합계 6개, 모두 용량이 초기값과는 완전히 달라져 있었다.이러한 전해 콘덴서를 디지털 테스터 용량계로 측정했더니 표 1과 같이 현물에 표시되어 있는 값보다 극단적으로 크게 측정됐다. 이 값이 이상한 것은 당연하지만, 음을 들어본 느낌으로는 표의 값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아날로그 ② : 계측 & 센서Electron/Etc. 2014. 8. 28. 11:07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Ⅱ) - 아날로그 ② : 계측 & 센서 아날로그 ② : 계측 & 센서 계장 앰프에도 바이어스 전류의 리턴 패스를 설치해야 한다 1. 센서가 출력하는 미소 신호를 증폭할 때에는 ‘계장 앰프’가 좋다 노이즈가 들어오기 쉬운 환경에서 센서가 출력하는 미소 전압을 추출할 때에는 2입력 차이의 전압(차동 전압)을 증폭하는 앰프(차동 증폭 회로)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OP 앰프를 사용한 차동 증폭 회로에서는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를 높이기 어렵지만 IC화된 계장 앰프를 사용하면 입력 임피던스를 높일수 있다. 그림 1은 열전쌍의 미소 전압을 계장 앰프로 증폭하는 회로이다. 증폭률은 RG에 따라 정해진다. 입력 임피던스는 RG에 관계없이 매우 높아 AD620에서는 약 10GΩ이다. 2. 입력 바이어..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아날로그 ① : 증폭 회로Electron/Etc. 2014. 8. 28. 11:04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아날로그 ① : 증폭 회로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아날로그 ① : 증폭 회로 케이블이 늘어나는 OP 앰프 출력에는 발진 방지 저항을 넣는다 OP 앰프의 출력 신호를 기판 외부에서 뽑아내기 위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저항을 삽입한다(그림 1). 수신단에서 임피던스 정합하면 송신단에서의 임피던스 정합은 원래 필요 없지만, 넣어 두면 수신단이 개방됐을 때에도 반사파를 송신단에서 종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실드선과 같이 용량 성분이 큰 케이블에 접속할 경우에는 발진 방지를 위해 그림 1의 R1이 필요하다. 1. OP 앰프의 출력에 부하를 연결하면 진동한다 OP 앰프에 용량성 부하를 접속할 경우 발진하기 쉬워진다는 것..
-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마이컴 주변 회로Electron/Etc. 2014. 8. 28. 10:54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마이컴 주변 회로 일렉트로닉스 격언집 (Ⅰ) - 마이컴 주변 회로 마이컴과 로직 IC는 내보내는 것보다 끌어당기는 것이 좋다 1. 위로 연결됐느냐 아래로 연결됐느냐에 따라서도 밝기가 달라진다 그림 1은 마이컴과 로직 IC를 사용한 인디케이터용 LED 점등 회로이다. 그림 1(a)은 OUT 단자를“L”로하면LED가켜지는 부논리 드라이브 회로, 그림 1(b)은 OUT 단자를“H”로하면 LED가 켜지는 정논리 드라이브 회로이다. 언뜻 두 접속 방법이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LED 휘도를 높여 직사광선 하에서도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그림 1(a)이 더 좋다. 그 이유는 로직 IC의 내부 회로에서 찾을 수 있다. 로직 IC의 출력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하프 브리지 회로..
-
초보자를 위한 전자회로 체크 리스트 (Ⅱ) - 마이컴 & 디지털 회로 체크리스트Electron/전자 2014. 8. 28. 09:58
[전자기술] [기술특집] 초보자를 위한 전자회로 체크 리스트 (Ⅱ) - 마이컴 & 디지털 회로 체... | 2013년 10월 (마이컴의 기본) 전원 ON/OFF 직후의 마이컴 리셋 상태 1. 전원 전압이 불안정할 때 마이컴을 침묵시키는 ‘리셋’ 마이컴은 전원 ON 직후나 OFF 후 전원 전압이 낮을 때 출력 단자의 “L”/“H” 상태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출력 단자가 “L”이나 “H”로 되므로 전원 스위치를 ON하자마자 마이컴의 출력 단자 앞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가 갑자기 회전하여 부상을 입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트러블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원 전압이 낮은 동안 마이컴이 폭주하지 않도록 해 주는 것이 리셋 IC이다. 리셋 IC는 전원 전압을 항상 감시하여 마이컴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
-
초보자를 위한 전자회로 체크 리스트(Ⅰ)-아날로그&전원 회로 체크리스트Electron/전자 2014. 8. 28. 09:55
[전자기술] [기술특집] 초보자를 위한 전자회로 체크 리스트(Ⅰ)-아날로그&전원 회로 체크리스... | 2013년 09월여기서 가장 귀찮은 트러블이 발생한다! 아날로그 & 전원회로 체크리스트 전원에 디커플링 콘덴서가 들어 있는가? OP 앰프의 응용 예로서 마이컴의 A-D 컨버터 입력부의 센서 신호 증폭 회로, D-A 컨버터 출력부의 출력 구동 회로를 상정하고(그림 1) OP 앰프 회로의 체크포인트를 추출했다. OP 앰프는 전원에 노이즈가 실리면 그 노이즈까지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것이 발진의 원인이 된다. 마이컴 등의 로직 IC는 고속 클록에서 동작하므로 이 클록에 동기하는 노이즈가 전원 라인을 통해 OP 앰프에 전달되어 버리는 것이다. 때문에 OP 앰프의 전원 라인에 노이즈 제거용 디커플링 콘덴서를 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