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일반적으로 사례관리의 과정은 ①문제발견 ②사정 ③계획 ④실시 ⑤모니터링 ⑥재사정의 6가지로 나뉘어 있다. 여기에 사례별로 또는 학자별로 이견이 첨가되기도 한다. |
| |
|
|
문제발견 |
|
|
|
|
이 단계에서는 사례 발견을 위한 소극적인 클라이언트의 방문부터 적극적인 Out-reach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있는가를 클라이언트의 성명, 연령, 가족 상태, 소득 등 기타 사항을 참고로 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와 가족에게 기관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기관이 클라이언트에게 요구하는 사항, 그리고 기관이 갖는 제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만약 해당기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적절한 사례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경우에는 타기관에 사례를 의뢰한다.
|
|
|
|
|
| |
|
|
사정 |
|
|
|
|
클라이언트의 현재 기능에 관한 광범위하고 구조화된 평가의 과정이란 의미를 가진 사정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및 그의 사회적, 물리적인 환경의 욕구와 강점을 정확히 평가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이 제시한 문제 외에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및 정서적 욕구뿐만 아니라 재정적 및 환경적 욕구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공식적 서비스 제공자와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비공식적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클라이언트가 받을 수 있는 지원에 대하여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
|
|
|
| |
|
|
보호계획 |
|
|
|
|
계획은 사정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방법과 시기, 그리고 목표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능력과 기술의 개선을 위한 목표, 필요한 서비스들의 활용을 위한 목표, 사회망을 통한 개입의 목표들을 설정하고, 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계획을 수립하여, 서비스 전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장애요인 등을 명확하게 분석하여야 하고 ( Wood와 Middement 1989 ), 점검과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효과성에 대한 지침을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
|
|
|
|
|
| |
|
|
서비스 실시 |
|
|
|
|
앞선 계획단계에서의 수립된 계획을 실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례관리자는 계획을 현실화하는데 있어서 가능한 한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면서 제공자와의 접촉도 빈번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여러 복잡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사례관리자는 가족과의 연계, 기존의 유대강화 및 유지, 전문가와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사회적 지지망 구축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
|
|
|
|
| |
|
|
모니터링 |
|
|
|
|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이 과정에서 서비스의 계획과 서비스의 변경이 이루어져 클라이언트에게 상황의 변화에 적절한 지속적인 서비스 연계를 그 초점으로 하고 있다. 즉 서비스가 적절한가, 서비스의 질이 높은가, 서비스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사례관리자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의 요소, 적정성 요소, 질적인 요소, 결과적 요소들을 환자의 자기관리 차원, 상호적 관리 차원, 전문가관리 차원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하면서 점검한다.
|
|
|
|
|
| |
|
|
재사정 |
|
|
|
|
클라이언트의 상황과 기능이 처음에 세운 보호 계획의 목적과 비교해서 서비스 전달 후 차이 또는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조건과 상태를 다시 사정하는 과업을 말한다. 보통 3개월 단위로 이루어진다. 즉 서비스에 관한 것 - 서비스의 적정성, 서비스의 효율성 등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에 관한 처음과 같은 재접근을 의미한다. 이는 서비스전의 상황과 후의 상황을 비교평가하고 기록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