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3 사회운동과 혁명
    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33

     
       
     
    .1


       
     

    변화를 증진시키거나 저지하기위해 조직된 인간의 집합행동. 사회운동은 분명한 목표와 조직, 명백한 변화 지향적 이념을 갖는다.
         
     
         
    보수주의적 사회운동: 기존의 사회구조나 제도를 유지 존속시키기 위한 집단적 운동
    예>: 유림들의 동성동본 불혼제 유지 운동
     
         

    복고적 반동적 사회운동: 사회의 개혁적 움직임에 반대하여 기존의 가치나 제도로 회귀하고자 하는 운동. 예> 관제 데모, 반공연합회 데모, 상이군경회 데모

     
         
    개혁주의적 사회운동: 새로운 가치나 제도, 정책 등을 통해 사회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집단적 운동. 예>: 흑인인권운동, 가족법제정운동
     
    혁명적 사회운동: 기존의 사회구조에 대한 불만과 비판적 입장을 지니고 이를 전복하여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는 집단운동. 예>: 불란서혁명, 갑오농민운동
       
     
       
     
     
    혁명은 대중적 사회운동을 수반하여야 하며, 중요한 개혁이나 변동의 과정을 이끌어야하며, 폭력적 수단을 동원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실제 통제하는 정치변동과정이다.
     
         
    마르크스 혁명이론
    사회의 발전은 주기적인 계급갈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그것의 첨예한 대립이 결국 혁명적 변동 과정으로 귀결되게 된다.
     
         
    찰머스 존슨과 제임스 데이비스 이론
    사회의 불균형 혹은 불평등이 혁명발생의 필요조건이며, 다수로부터 저항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절대적 박탈감보다 상대적 박탈감이 존재해야 한다.
     
         
    찰스 틸리의 저항행위이론
    혁명적 변동과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저항과 폭력의 형태를 분석하면서 연계시키고 있다. 집합행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를 조직, 동원, 공통이익, 기회로 본다. 대부분의 집합적 폭력은 원래는 폭력적이지 않은데서 출발하나 당국의 물리력으로 개입하면서 폭력적 반발을 불러일으켜 폭력적 대결양상이 이루어진다. 혁명적 권력 전이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저항운동이 지배집단의 통제를 약화시키거나 무력화 시킬 때 가능하다.
     
         
    네일 스멜서의 사회운동이론
    사회운동 발생에 계기가 되는 여섯 가지 여건을 들고 있다.
     

    (1) 구조적 유인성 : 사회구조적으로 불평등하며,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집단이 존재해야한다. 예컨대, 지주와 소작인, 자본가와 무산계급, 영주와 농노 등이 대립적 관계

    (2) 현실적인 박탈감의 경험(구조적 긴장) : 대립되는 집단이 존재하더라도 실제의 삶 속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해야한다. 미국의 인종차별적인 백인들의 태도를 보면, 버스에 흑인들이 타고 있으면 타는 것을 거부한다거나 옆 좌석에 흑인이 앉게 되면 일어나 다른 곳으로 가버리는 등 흑인들이 분노를 느끼게 되는 경우이다.

    (3) 일반화된 신념/ 이데올로기화 : 개인적인 박탈감이나 분노가 이를 경험하게 되는 집단 내에서 의식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일제 때 광주학생사건은 열차 안에서 여학생을 희롱하는 일본학생을 보고, 조선인 남학생들이 조국을 잃은 억울함과 분노를 느끼고 일제의 속박과 구속을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적대적 의식화가 이루어진 경우이다.

    (4) 촉발요인 : 집단 내에 적대적 의식화가 팽배되어 있을 때 이에 도화선이 되어야할 사건이 발생해야 집단의 폭력적 에너지가 혁명적 사회운동의 불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989년 박종철 고문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시민들이 집단적인 시위를 지속적으로 격렬하게 함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정치적 민주화에 봇물을 틀 수 있었다.

    (5) 참여자의 동원/ 지도자 : 집단적인 행위는 초점화를 이루며 행동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독려하고 이를 이끄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그래야 목표를 향해 집중된 힘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6)사회 통제력의 약화여부 : 기존의 사회적 통제력이 저항운동 조직들을 얼마나 통제 할 수 있느냐 여부가 저항운동의 성공을 좌우한다.

    ※ 네일 스멜서의 사회운동이론을 통해 본 동학농민운동.

     
       
     
       
     


    사회운동은 집합행동 중에서 분명한 목표와 조직, 명백한 변화
    지향적 이념을 갖는 운동이다. 그 유형을 보면

    보수주의적 사회운동 : 기존의 사회구조나 제도를 유지 존속시키기 위한 집단적 운동.

    복고적 반동적 사회운동 : 사회의 개혁적 움직임에 반대하여 기존의 가치나 제도로 회귀하고자 하는 운동.

    개혁주의적 사회운동 : 새로운 가치나 제도, 정책 등을 통해 사회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집단적 운동.

    혁명적 사회운동 : 기존의 사회구조에 대한 불만과 비판적 입장을 지니고 이를 전복하여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는 집단운동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혁명과 사회운동 : 혁명은 대중적 사회운동을 수반하여야 하며, 중요한 개혁이나 변동의 과정을 이끌어야하며, 폭력적 수단을 동원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실제 통제하는 정치변동 과정이다.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적 입장을 살펴보면, 마르크스 혁명이론, 찰머스 존슨과 제임스 데이비스 이론, 찰스 틸리의 저항행위이론, 네일 스멜서의 사회운동이론 등이다.

    특히 스멜서는 사회운동 발생에 계기가 되는 여섯 가지 여건을 들고 있는데,

    (1) 구조적 유인성, (2) 현실적인 박탈감의 경험(구조적 긴장), (3) 일반화된 신념/ 이데올로기화, (4) 촉발요인, (5) 참여자의 동원/ 지도자,
    (6) 사회 통제력의 약화여부가 저항운동의 성공을 좌우한다고 보았다.



     
       
     
     
     
    □□□□이란 집합행동 중에서 분명한 목표와 조직, 명백한 변화 지향적 이념을 갖는 운동이다.
      
     
     
     
    찰스틸리는 혁명적 변동과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저항과 폭력의 형태를 분석하면서 연계시키고 있는 □□□□이론 입장이였다.
      

    'etc. >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문화사회학의 이해  (1) 2009.06.16
    34 정보화 사회의 사회운동  (0) 2009.06.16
    32 집합행동  (0) 2009.06.16
    31 지역사회와 도시(2)  (0) 2009.06.16
    30 지역사회와 도시(1)  (0) 2009.06.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