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
33 사회운동과 혁명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33
.1 변화를 증진시키거나 저지하기위해 조직된 인간의 집합행동. 사회운동은 분명한 목표와 조직, 명백한 변화 지향적 이념을 갖는다. 보수주의적 사회운동: 기존의 사회구조나 제도를 유지 존속시키기 위한 집단적 운동 예>: 유림들의 동성동본 불혼제 유지 운동 복고적 반동적 사회운동: 사회의 개혁적 움직임에 반대하여 기존의 가치나 제도로 회귀하고자 하는 운동. 예> 관제 데모, 반공연합회 데모, 상이군경회 데모 개혁주의적 사회운동: 새로운 가치나 제도, 정책 등을 통해 사회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집단적 운동. 예>: 흑인인권운동, 가족법제정운동 혁명적 사회운동: 기존의 사회구조에 대한 불만과 비판적 입장을 지니고 이를 전복하여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는 집단운동. 예>: 불란서혁명, 갑오..
-
32 집합행동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31
.1 제도적으로 확립된 질서 밖에서 구성된 행동. 행태가 무질서하며, 일상적인 행동과 달 라 그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공통적 요소들을 지닌 사회적 행동이다. 여론, 선전, 유행 등도 광의의 집합행동으로 볼 수 있다. 군중(crowd) 성원들이 서로 모르며 행동, 규칙과 전통, 공식적 통제수단, 공식적 리더 등이 없다. 공통된 관심사를 갖고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정서적 상호작용 이루어진다. 르봉의 군중행위이론 : 19세기 말,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의 그는 프랑스 혁명기간 동안의 혁명적 폭도들을 일컬어 군중이라 지칭했다. 초점 맞추어진 군중의 영향에서 개인들은 야만적인 행동이나 영웅주의적 행동을 하게 되어 홀로 숙고할 수 없다. 대부분의 군중 행동들은 르봉의 이론에서 예측하듯이 분별력이 결여되거..
-
31 지역사회와 도시(2)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29
.1 지역사회이론 중에서 인간생태학이론에 이어 구성적 유형 원리에 의한 지역사회 특성이나 지역문화이론이 도시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지역사회 이론 구성적 유형(constructed type) 이론: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이 전통적 지역사회의 구성원리가 이익 사회적 구성원리로 변화하였음을 개념화하고 있다. 공동체사회(Gemeinschaft)에서 이익사회(Geselshaft)로 변화 - (퇴니스/ F.Toennies) 지위정향(status oriented)에서 계약정향(contract oriented)으로 변화 - (헨리메인/H.Maine) 일차적 관계(primary relation)에서 이차적 관계(secondary relation)로 변화 - (쿨리/C.Cooley) 민속사회(folk soci..
-
30 지역사회와 도시(1)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28
.1 지역사회의 개념 일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통의 유대감이 이룩되어 있는 인간 집단 [힐러리/ G.A. Hillery] 공동 생활권에서 사회적 유사성 즉 관념, 전통, 관습 등이 유사하며, 동료의식, 역할의식, 의존의식과 같은 지역사회의식이 있어야 함 [맥가이버/ MacIver] 생산자가 생산품을 가지고 판매권이 형성될 수 있는 지역적 범위인 교역권이 지역사회 [갤핀/ Galpin] 일반적으로 제한된 지역에 거주하면서 공동의식을 가지고 조직된 관계를 통하여 공통된 이익을 추구하며 여러 가지 활동을 분담 수행하는 인간집단 [넬슨/ Nelson] 일정한 지리적 한계 속에 국한 시키지 않는 개방적 입장, 영역별로 지방적 지역사회(local community), 권역별 지역사회(..
-
29 정보화 사회의 계급 변화와 사회이동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26
.1 위의 그림1은 19세기 독일의 도시 부퍼탈(Wupertal)의 대 자본가였던 엥겔스 가의 방직공장 내부이다. 그림2는 현재에도 큰 공장들 굴뚝이 우뚝우뚝 솟아 있으며, 협곡의 충분한 물은 공업용수로 최적이었으나 지금은 공중전차를 탄 관광객들에게 아름다운 경관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림3은 잔잔한 부퍼탈 협곡에서 보트놀이를 즐기는 관광객이다. 도시 부퍼탈 기능의 변모는 계급적 변화의 한 현상이다. 정보화 사회의 계급변화와 사회이동 서운더즈(Saunders, P)는 "사회이론과 도시 질문(Social Theory & Urban Question)" 이라는 저서에서 20세기 말 계급상황은 더 이상 19세기나 20세기 중반까지 계급이론으로 설명이나 분석이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다섯 가지 변화에 기초하여 이를 ..
-
28 사회변화와 계급이동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23
序:그 여자 앞에 무너져 내리다 박노해의 1990년대 말 시 그 해 첫눈이 펑펑 내리던 밤 엉금엄금 기어가는 마지막 호송차는 만원이었지요 그 바람에 규정을 어기고 나는 그 여자 옆에 앉혀지게 되었습니다. 눈송이 날리는 창 밖만을 하염없이 내다보던 그 여자는 누군가 내 이름을 부르는 소리에 깜짝 놀라 내 얼굴을 뚫어지게 쳐다보더니 검은 눈이 어느덧 젖어 있었습니다. 자기는 아이 둘 가진 노동자인데 교통사고로 들어와서 합의를 못 보다가 오늘에야 나가게 되었다고, 내 시를 노래로도 부르고 이야기 많이 들었다고, 항상 죄송하고 마음 아팠다고.. ...... 죄수복에 포승줄 묶인 내 모습이 차창에 비치는게 그렇게도 싫었는데, 아니야 아니야 나야말로 이 모습 이대로 죄인이구나 난 지금까지 좋은 세상을 바라면서 노조..
-
27 사회계급과 계층(2)etc./사회학개론 2009. 6. 16. 11:22
▣ 한국사회의 계급구조와 사회이동 한국의 근, 현대사를 통해 우리의 계급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사회적 이동은 어떠한지, 서구의 이념형적 계급구성이나 그 이동과 우리는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산업화에 의한 계급 분화의 시작은 일제 강점기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이전의 전통적 농업체계는 지주로서 양반계급과 소작인으로서 상민인 농민계급으로 크게 대별되었고, 신분적으로 상인이나 공인, 혹은 광대 등은 천민으로 그 수도 많지는 않았다. 1960년대 군사정권에 계획경제가 처음 도입되어 본격적인 산업화가 추진되기 이전까지는 대부분의 인구인 80%가 농업에 종사한 것을 보아도 계급분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은 셈이다. 이러한 특성을 배경으로 우리의 계급구조와 그 이동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
-
26 사회계급과 계층(1)etc./사회학개론 2009. 6. 15. 21:25
.1 1980년대 박노해 시(노동의 새벽에서 발췌) 우리 세 식구의 밥줄을 쥐고 있는 사장님은 나의 하늘이다 . 프레스에 찍힌 손을 부여안고 병원으로 갔을 때 손을 붙일 수도 병신을 만들 수도 있는 의사 선생님은 나의 하늘이다. 두 달째 임금이 막히고 노조를 결성하다 경찰서에 끌려가 세상에 죄 한번 짓지 않은 우리를 감옥소에 집어 넌다는 경찰관님은 항시 두려운 하늘이다 . 죄인을 만들 수도 살릴 수도 있는 판검사님은 무서운 하늘이다. 관청에 앉아서 흥하게도 망하게도 할 수 있는 관리들은 겁나는 하늘이다. 높은 사람, 힘 있는 사람, 돈 많은 사람은 모두 하늘처럼 뵌다. 아니, 우리의 생을 관장하는 검은 하늘이시다. 나는 어디에서 누구에게 하늘이 되나 代代로 바닥으로만 살아온 힘없는 내가 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