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8장 미시 사회학적 패러다임
    etc./사회학개론 2009. 5. 5. 07:37
     


     
    웨버는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인간 행위의 유형이나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마르크스나 뒤르껭이 간과한 인간의 주관적 해석(veherstehen)을 강조한다. 그렇다고 해서 거시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도외시한 것은 아니었다. 웨버 역시 역사를 인간 의식의 합리화 과정(rationalization )으로 보면서 경제적 합리성 못지않게 정치적 합리성이 낳게 되는 형식합리성의 문제와 의식의 형식합리성이 가져다주는 의미상실(disenchantment)로 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웨버는 마르크스의 거시사회 이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하부구조(정치경제)에 의한 상부구조(사회문화)의 일방적 영향력을 비판하며 오히려 양방간의 선택적 친화력(selective affinity)에 의해 서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음을 경험적 연구 즉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Protestant Ethic and Capitalism)" 를 통해 밝히고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한계는 사회적 모순을 분석한 근거에 입각해 곧바로 이를 현실에 적용시키려는 경직성 때문이기에 사회 과학자들은 가치중립적(value free)입장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인간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가 객관적, 과학적 접근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 있으며 이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그의 입장에서 나온 것이다.


     
    후쎌과 슈츠( E.Hussrl & A.Schutz )
    독일의 현상학적 사회학자인 이들은 딜타이의 해석학적 철학과 웨버의 의미의 사회학을 접목시킨 사회학자들이다. 특히 슈츠는 주관적 의미의 재해석이 이루어지는 일상적 공간인 미시사회를 “생활세계(Life World)"로 개념화함으로 미시사회학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관적 의미의 재해석 과정에서 주체와 다른 주체 간의 간주관성(inter-subjectivity)에 이르기 위해 주체는 각자 판단정지의 의식과정이 요구됨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간주관성은 언어의 본질을 인간 주체간의 의사소통의 기재로 보는 입장과 같은 의미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 symbolic interactions)


     
    대표적 학자로 조지 허버트 미드(G.H.Mead)와 블루머(H.Blummer)를 들 수 있다.
    일상생활의 상징적 의미를 교호하는 과정에서 의미의 재해석에 의해 미시사회가 창의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고프만(E.Goffman)은 사회를 일종의 연극무대로 접근(The dramaturgical Approach)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자신이 수행한 정신병동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당연시여기는 사회가 어떤 메카니즘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피터 버거(P.Burger)의 공모(conspiracy)의 사회, 가핑겔(H.Gafinkel)의 민속방법론, 마페졸리 (M. Maffesoli)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은 상징 의미의 다의성과 의 미의 재해석을 통해 딱딱한 구조로만 여겨지는 사회를 변화시켜나가는 인간 행위의 주체성을 다 루고 있다는 점이다.


    학문적으로 인류학이 원주민 사회의 상징의미를 해석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한 경험 적 접근 즉 질적 접근이 미시사회학에 방법론적으로 많은 기여를 했다.
     

    생활세계의 세수준의 세계 즉 인간주체가 직면하고 있는 자연 및 물리적 환경을 객관적 세계, 다른 주체와의 관계인 사회적 세계, 자기 내면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주관적 세계가 그것이다.



       
















    사회구조에 보다 비중을 주는 거시사회학과 인간 행위 주체에 더 비중을 두는 미시사회학 중에 어느 입장에 있느냐에 의해 사회학의 학문적 흐름이 변이를 보여 왔다.
     
         

    이러한 사회학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아래 그림은 어떤 의미에서 거시사회학과 미시사회학을 조망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여전히 시장경제 자본주의가 관철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마르크스의 이론은 중심축을 이루게 된다. 거시사회학의 갈래는 뒤르껭에서 파슨즈 그리고 제프리 알렉산더로 이어 진다.

    미시사회학의 갈래는 웨버에서 슈츠, 미드로 연결되고 피터 버거에 합류했다 기딩스에 이르러 거시와 미시를 수렴하고 있다.

    의식철학의 마르크시즘은 루카치에 이르면 상부구조인 문화구조와 하부구조 간에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구조적 혁명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문화사회학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전기 프랑크푸르트학파로 이어지면서 인간 내면의 주관적 세계에 대한 보다 깊은 프로이드해석이 수렴되면서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단순하거나 경직될 수 없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상부구조의 기재가 의식철학에서 언어철학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후기 프랑크푸르트학파인 하버마스에 이어져 거시사회학과 미시사회학의 통합이론이 생활세계에서 의사소통 행위이론으로 수렴되게 된다.


       
       
     


    막스 웨버는 당시의 사회적 모순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인간 행위의 유형이나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마르크스나 뒤르껭이 간과한 인간의 주관적 해석(veherstehen)을 강조한다. 그렇다고 해서 거시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도외시한 것은 아니었다. 웨버 역시 역사를 인간 의식의 합리화 과정(rationalization )으로 보면서 경제적 합리성 못지않게 정치적 합리성이 낳게 되는 형식합리성의 문제와 의식의 형식합리성이 가져다주는 의미상실(disenchantment)로 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현상학적 사회학자인 후쎌과 슈츠( E.Hussrl & A.Schutz)는 딜타이의 해석학적 철학과 웨버의 의미의 사회학을 접목시킨 사회학자들이다. 특히 슈츠는 주관적 의미의 재해석이 이루어지는 일상적 공간인 미시사회를 “생활세계(Life World)"로 개념화함으로 미시사회학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상징적 상호작용론( symbolic interactions)의 대표적 학자로 조지 허버트 미드(G.H.Mead)와 블루머(H.Blummer)는 일상생활의 상징적 의미를 교호하는 과정에서 의미의 재해석에 의해 미시사회가 창의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고프만(E.Goffman)의 연극적 접근(The dramaturgical Approach), 피터 버거(P.Burger)의 공모(conspiracy)의 사회, 가핑겔(H.Gafinkel)의 민속방법론, 마페졸리(M. Maffesoli)의 포스트 모더니즘의 사회학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은 상징 의미의 다의성과 의미의 재해석을 통해 딱딱한 구조로만 여겨지는 사회를 변화시켜나가는 인간 행위의 주체성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학문적으로 인류학이 원주민 사회의 상징의미를 해석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한 경험 적 접근 즉 질적 접근이 미시사회학에 방법론적으로 많은 기여를 했다.


     
    생활세계의 세수준의 세계 즉 인간주체가 직면하고 있는 자연 및 물리적 환경을 객관적 세계, 다른 주체와의 관계인 사회적 세계, 자기 내면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주관적 세계가 그것이다.


     
    사회학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아래 그림은 어떤 의미에서 거시사회학과 미시사회학을 조망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여전히 시장경제 자본주의가 관철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마르크스의 이론은 중심축을 이루게 된다. 거시사회학의 갈래는 뒤르껭에서 파슨즈 그리고 제프리 알렉산더로 이어진다.

    미시사회학의 갈래는 웨버에서 슈츠, 미드로 연결되고 피터 버거에 합류했다 기딩스에 이르러 거시와 미시를 수렴하고 있다.

    의식철학의 마르크시즘은 루카치에 이르면 상부구조인 문화구조와 하부구조 간에 통합이 강조되고, 전기 프랑크푸르트학파로 이어지면서 인간 내면의 주관적 세계에 대한 보다 깊은 프로이드해석이 수렴된다. 상부구조의 기재가 의식철학에서 언어철학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후기 프랑크푸르트학파인 하버마스는 거시사회학과 미시사회학의 통합이론인 생활세계에서 의사소통 행위이론으로 수렴되게 된다.

     
       
     
     
    마르크스의 한계는 사회적 모순을 분석한 근거에 입각해 곧바로 이를 현실에 적용시키려는 경직성 때문이기에 사회 과학자들은 □□□□□입장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일상생활의 상징적 의미를 교호하는 과정에서 의미의 재해석에 의해 미시사회가 창의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대표적 학자로 조지 허버트 미드(G.H.Mead)와 블루머(H.Blummer)를 들 수 있는 이론은 무엇인가?
      

    'etc. >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장 문화의 개념  (0) 2009.05.05
    9장 거시와 미시를 수렴한 비교 문화적 접근  (0) 2009.05.05
    7장 거시사회학적 패러다임  (0) 2009.05.04
    6장 드라마로서의 사회  (0) 2009.05.04
    5장 인간속의 사회  (0) 2009.05.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