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장 문화의 개념
    etc./사회학개론 2009. 5. 5. 07:44
     
     

    .1
    2002년 월드컵 경기때 한국문화의 열정적 에너지와 네덜란드 문화의 냉철하고 합리적인 히딩크 감독의 경기 운영과 선수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올림픽 4강으로 도약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왔다.


     
      * 21세기는 문화와 예술의 세기라고 하듯이 우리는 지금 문화의 힘이 강조되는 시대에 살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문화를 개념화 하는데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총체론적 접근


    "문화란 인간이 환경에 적응 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사회조직, 언어, 신앙, 관습, 기술, 도구, 예술품 등의 총합체”라는 입장으로 19세기 초기 인류학자들이 비서구사회의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낯선 집단의 모든 총합체를 통해 그 문화를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문화는 실제적이고 관찰될 수 있는 사물 및 사건들 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인간유기체 안에 관념이나 감정의 형태로, 인간 상호간에 행위에, 인간이 변형시킨 물체에 문화가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관념론적 접근


    20세기에 이르면 비서구 사회, 원주민 사회는 이미 서양문화의 접변에 의해 고유한 문화가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가시적으로 관찰 될 수 있는 현상을 모두 문화라고 볼 수 없게 됐다. 따라서
    "문화란 인간의 행위나 구체적인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모델 혹은 구체적인 현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추상"이라고 보는 문화개념이 중요해지기 시작한다.

    문화 : 행위들 (culture : behaviors)
    문법 : 문장들 (grammar : sentences)
    언어에서 다양한 문자의 변이가 이루어지더라도 문법적 규칙을 벗어난 변이가 이루어지지 않듯이 가시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다양한 행위들 역시 문화적 규칙 즉 문화적 문법을 벗어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예컨대, 루스 베네딕트( R. Benedict) “국화와 칼”에서 일본문화를 수치의 문화(shame culture)로 서양의 문화를 죄의 문화(guilt culture)로 유형화하여 이러한 문화적 규칙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서양문화는 절대적인 원칙 하에 행위 함으로 죄를 짓지 않으려 한다면, 일본은 남에게 수치스러운 행위인지 여부가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절대적인 원칙이 기준이기 보다 상황에 따라 부끄러운 행위인지 아닌지가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화는 명사가 아닌 동사


    총체론적 접근이든 관념론적 접근이든 문화는 분류의 범주인 명사로 정태적인 점을 강조하는데 비해 문화가 발전과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더 이상 문화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동사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의 대중문화의 스타들이 한류 열풍을 타는 것도 동사로서의 문화의 예이다.


     

       
      문화관련 개념들
     


    하위문화(sub-culture)

    한 사회 집단의 특수한 부분이나 영역에서 다른 것과 구분되는 특이한 생활양식
    예> 청소년 강남문화, 강북문화


     
    주변문화(marginal culture)

    문화 중심으로부터 물리적 거리가 떨어지거나, 소외된 문화. 예컨대, 빈민문화, 한국의 무속을 들 수 있다. 남성중심의 유교문화에서 소외된 전통사회의 한국여성들은 무속을 통해 많은 어려움을 해결하곤 하였다.

     

     
    반문화(counter culture) 혹은 대안문화(alternative culture)

    기존의 문화에 대항하는 문화를 반문화라고 한다면, 그 중에서도 하나의 대안을 제시함으로 새로운 방향으로 문화를 이끌어나가는 경우가 대안문화이다. 예컨대, 60년대 히피문화가 반문화였다면 생태 공동체를 이끌며 환경친화적으로 살아가는 이들의 삶을 대안 문화라고 하겠다.


     
    문화의 상대성(cultural relativity)

    문화는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각각의 집단은 주어진 자연환경 및 물리적 조건에 적응하며 고안해 낸 최선의 방식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이기 때문에 문화는 상대적으로 보아야한다. 그러나 기술문명이나 물질문명이 앞선 서구에서 자칫 자민족 중심주의(ethno-centrism) 입장에서 다른 문화를 폄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국의 보신탕 문화에 대한 서구사회의 부정적 반응들이 그 예이다.

     
       
     
       
    문화를 개념화 하는데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총체론적 접근

    문화는 실제적이고 관찰될 수 있는 사물 및 사건들 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인간유기체 안에 관념이나 감정의 형태로, 인간 상호간에 행위에, 인간이 변형시킨 물체에 문화가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관념론적 접근


    문화란 인간의 행위나 구체적인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모델 혹은 구체적인 현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추상"이라고 보는 문화개념이다.


     
    문화는 명사가 아닌 동사

    총체론적 접근이든 관념론적 접근이든 문화는 분류의 범주인 명사로 정태적인 점을 강조하는데 비해 문화가 발전과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더 이상 문화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동사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 문화관련 개념들

    하위문화(sub-culture)
    한 사회 집단의 특수한 부분이나 영역에서 다른 것과 구분되는 특이한 생활양식
    예: 청소년 강남문화, 강북문화

    주변문화(marginal culture)
    문화 중심으로부터 물리적 거리가 떨어지거나, 소외된 문화. 예컨대, 빈민문화, 한국의 무속을 들 수 있다.

    반문화(counter culture) 혹은 대안문화(alternative culture)
    기존의 문화에 대항하는 문화를 반문화라고 한다면, 그 중에서도 하나의 대안을 제시함으로 새로운 방향으로 문화를 이끌어나가는 경우가 대안문화이다.

    문화의 상대성(cultural relativity)
    각각의 집단은 주어진 자연환경 및 물리적 조건에 적응하며 고안해 낸 최선의 방식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이기 때문에 문화는 상대적으로 보아야한다. 그러나 자민족 중심주의(ethno-centrism) 입장에서 다른 문화를 폄하하는 경우가 있다.

       
       
     
     
     
    총체론적 접근이든 관념론적 접근이든 문화는 분류의 범주인 명사로 정태적인 점을 강조하는데 비해 문화가 발전과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더 이상 문화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화와 관련된 개념들 중 한 사회 집단의 특수한 부분이나 영역에서 다른 것과 구분되는 특이한 생활양식을 □□문화라고 한다.
      
     

    'etc. >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문화의 인성  (0) 2009.05.05
    11 문화의 속성  (0) 2009.05.05
    9장 거시와 미시를 수렴한 비교 문화적 접근  (0) 2009.05.05
    8장 미시 사회학적 패러다임  (0) 2009.05.05
    7장 거시사회학적 패러다임  (0) 2009.05.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