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3 성, 혼인, 가족
    etc./사회학개론 2009. 5. 5. 07:49

     
     

     
      가족은 “혼인과 혈연을 기반으로 한 관계에 있는 부부와 그 자녀들 또는 그들의 근친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모든 사회에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가족의 본질


    성의 규제 : 남녀가 일정한 규칙성하에서 성관계를 맺는 것을 허락하고 그 이외의 관계는 규제한다. 따라서 근친상간 금기(incest taboo) 어느 인간 집단에서든지 보편적 현상이다.

     
     
    삼각형 : 남자, 동그라미: 여자, = : 결혼

    * 근친상간금기가 인간 보편적 현상이라고 보는 제 원인에 대한 이론들이 있다.

    웨스터 마르크 이론 : 유아기부터 한 공간에서 함께 자란 이성에 대해서는 성적 매력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기부츠 내에서 함께 자란 이성간에는 배우자 선택을 하지 않는 현상

    프로이드이론 : 모든 인간에게는 이성의 부모와 가장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나 동성인 부모에게 경쟁의식을 가지며 이에 대한 콤플렉스가 내면화된다.

    생물학적이론 : 여러 생물학자들이 주장하는 바로 근친간의 결합에서 생긴 자녀들의 대부분이 해로운 열성인자를 많이 지니게 됨으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근친간의 결합을 기피하게 된 것으로 본다.


     
    구조기능론적 입장

    모든 사회에서 가족은 인간 생존과 사회적 존속을 위한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일차적 단위이다. 조화와 안녕을 유지하는데 기초 단위가 됨으로 전체 사회를 균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기능적이다.

    구조주의적 입장(Levi-Strauss)

    개인의 욕구충족이기 보다 집단과 집단간의 호혜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간관계의 기호로 본다.

    동맹이론(alliance theory)
    왼쪽 그림에서 베분의 무리가 물 가까이에 옹기종기 모여 무리생활을 하고 있는데 비해 오른쪽 그림에서 인간 집단 간에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호혜관계를 유지한다. 가장 기본적인 호혜관계의 기호를 결혼적령기의자매로 본다. 자매를 교환하는 혼인이 이루어지면서 다른 재화도 신부대나 혼수 등의 이름으로 따라 간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 외교적 동맹의 호혜관계로까지 확대되며 서로 집단간에 우의를 다지게 된다.



    * 현대사회 한국의 재벌들의 혼인 관계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 따라서 집단과 집단 간의 혼인인 경우에 한배우자가 사망했을 때 2차혼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sororate(자매형) : 부인이 사망하였을 때 처가의 여자 자매가 형부와 결혼하는 경우 전통사회에서 일본사회가 지니고 있었던 풍속
    levirate(형제형) : 남편이 사망했을 때 남편의 남자 형제 중에서 결혼하게 되는 경우 고대 유대인에게 있었던 풍속도 (창세기 유다와 다말의 이야기)

     
         

     
    가족의 다양성


    외혼(exogamy): 집단 외부에서 배우자를 구하는 경우 예: 마을 밖에서 며느리 감을 구하는 경우, 동성동본 불혼제 등이다.


     
    내혼(endogamy) : 집단 내부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경우
    예: 인도의 캐스트 내혼, 이집트 파라오 왕가의 내혼, 신라의 골품제 내혼 등이다.

     
    단혼제 : 일부일처제 현상

     
    복혼제 : 일부다처제의 경우 부인들 간의 반목과 경쟁의식을 해소하는 방식이 중요하게 됨으로 다양한 방식들이 활용되고 있다.
    -일처다부제: 여성들의 지위는 더 열악하다. 형제간에 경작할 토지를 나누지 않고 같은 곳에서 부인도 하나로 형제간에 공유하며 함께 살아간다.
     
       
     

     
       
     
     
    가족은 “혼인과 혈연을 기반으로 한 관계에 있는 부부와 그 자녀들 또는 그들의 근친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모든 사회에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가족의 본질에 대해 우선 생각해 보면, 성의 규제에 있다. 특히 근친상간 금기(incest taboo)현상은 어느 인간 집단에서든지 볼 수 있는 보편적 현상이다.


     

    구조기능론적 입장에서 보면 가족은 인간 생존과 사회적 존속을 위한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일차적 단위이며 조화와 안녕을 유지하는데 기초 단위가 됨으로 전체 사회를 균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기능적이다.


     
    구조주의적 입장(Levi-Strauss)은 개인의 욕구충족이기 보다 집단과 집단간의 호혜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간관계의 기호로 보는 동맹이론(alliance theory)이다. 현대사회 한국의 재벌들의 혼인 관계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가족의 다양성에 대해 살펴보자면 외혼(exogamy)과 내혼(endogamy)이 있으며, 배우자 결합의 상태에 따라 일부일처제인 단혼제와 복혼제로 구별된다. 복혼제 중에서 일부다처제와 일처다부제가 있는데 일처다부제에서 여성들의 지위는 더 열악하다.

     
       
       
     
     
     
    개인의 욕구충족이기 보다 집단과 집단간의 호혜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간관계의 기호로 보는 입장은 □□□□□□□이다.
      
     
     
     
    모든 사회에서 가족은 인간 생존과 사회적 존속을 위한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일차적 단위이다. 조화와 안녕을 유지하는데 기초 단위가 됨으로 전체 사회를 균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기능적이라는 입장은 □□□□□□□□이다.
      
     
       

    'etc. >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가부장제와 여권주의  (0) 2009.05.05
    14 사회구조의 변화와 가족의 기능  (0) 2009.05.05
    12 문화의 인성  (0) 2009.05.05
    11 문화의 속성  (0) 2009.05.05
    10장 문화의 개념  (0) 2009.05.05
Designed by Tistory.